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4월애니신작
- 애니
- 추석특선프로그램
- 귀멸의칼날
- 디즈니
- 추석편성표
- 10월신작애니
- 영화리뷰
- 4월신작애니
- 추석특선영화
- 이쿠하라쿠니히코
- 추석
- 돌아가는펭귄드럼
- 신작애니
- 주술회전
- 추석영화
- 편성표
- 생존전략
- 설날
- 최애의아이
- 돌아가는 펭귄드럼
- 10월애니신작
- 영화
- 디즈니플러스
- 설날특집
- 스파이패밀리
- 도는펭귄드럼
- 설날특선영화
- 애니신작
- 애니메이션
- Today
- Total
Hongdang's Workstation
2024년 4월(2분기) 신작 애니 평가 본문
※ 극히 개인적인 시점의 감상평이 작성되어 있습니다.
언급된 작품의 원작, 기획, 정보 등을 어느 정도 참고하고 있으며 작성자의 의견에 내용을 집중했습니다.
본 포스팅에 언급된 해당 작품들에 대한 보다 나은 판단은 여러분들의 몫입니다.
※ 대략 1화부터 3화까지 본 상태에서 간단한 평을 적어봅니다.
해당 분기에 방영된 작품 중 모든 리스트가 아닌 일부만 리뷰합니다.
실사 특촬, 분할 시즌, 연속 시리즈, 쇼트 애니, OTT로 방영되는 작품들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생략합니다.
※ 평가표의 경우 각 분야별 점수 채점 및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멘터리는 한 줄로 요약하는 만큼 모든 정보가 담겨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스토리(특징) | 각 분야별로 10점 만점 | 작품의 소재와 몰입감, 납득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스토리텔링. |
작화(연출) | ●=2점 ◐=1점 ○=0점(공백) | 작화는 안정≤개성, 포인트를 부각하는 연출에 주목. |
캐릭터(연기) | 예시: ●●◐○○= 5점 | 개성이나 비중도 좋지만 캐릭터의 활약과 성우들의 연기+배역 또한 중요. |
첫인상(평가) | 기준 이상의 점수도 있음(+α) | 개인적인 안목의 비중이 크고 감상완료시 최종평가와 곧장 이어지지 않음. 상대적으로 평점이 낮아도 하단 추천작 리스트에 크랭크 인 가능. |
※ 평가 외에 서술한 부분 중에서 오타,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지적 부탁드리겠습니다.
▼
![](https://blog.kakaocdn.net/dn/bVumax/btsHtRzD9Bg/Tl4FYpbfC8iw5MkN1QBSBk/img.jpg)
종말 트레인은 어디로 향하나?
스토리(특징) | ![]() |
아침에 눈을 뜨면 지난 역이 궁굼해 오늘은 어떤 시골이 날 부를까. |
작화(연출) | ![]() |
다양한 장르가 녹아든 배경인 만큼 지루할 틈은 확실히 없음. |
캐릭터(연기) | ![]() |
수다 고봉밥 가득 채운 역할군 확실한 캐릭터 구성. |
첫인상(평가) | ![]() |
미즈시마 츠토무의 은하철도의 밤 1 |
![](https://blog.kakaocdn.net/dn/7HIAh/btsHudDiB9Z/81OIrd7w6CoJ1cuuDKoK50/img.jpg)
늑대와 향신료 MERCHANT MEETS THE WISE WOLF
스토리(특징) | ![]() |
대충 알기 쉬운 신용사기와 야만이 넘치는 중세시대의 경제는 차갑다 |
작화(연출) | ![]() |
구작 감독까지 복귀하니 안심과 믿음의 전개력 |
캐릭터(연기) | ![]() |
당연한 것 같아도 기존 레귤러 성우 캐스팅 보존은 신의 한 수 |
첫인상(평가) | ![]() |
호로기아스 - 부활의 부부사기단 |
![](https://blog.kakaocdn.net/dn/Kz2l8/btsHtMZzvHg/tAV5FXBkJtJBnzna3EAvK0/img.gif)
성우 라디오의 속사정
스토리(특징) | ![]() |
일본 성우계의 민감한 프라이버시를 다루는 만큼 자극은 확실함 2 |
작화(연출) | ![]() |
연출이나 배경 수준은 적당한데 인물 작화 평균 퀄리티 고저차가 심한게 걸린다. |
캐릭터(연기) | ![]() |
개개인 사정의 내외부 스캔들이 주요 소재지만 본작의 성우진 연기도 눈여겨 볼 포인트 |
첫인상(평가) | ![]() |
정육점 코너에 고로케없다고 우긴 사연~ 그건 말로 못해~ |
![](https://blog.kakaocdn.net/dn/pX7sA/btsHvJPLAiT/o6QlTexVH0ftVq5fQG94N1/img.jpg)
괴이와 소녀의 행방불명
스토리(특징) | ![]() |
좋은 시나리오란 듣기만 해도 좋은 이야기. |
작화(연출) | ![]() |
물론 연출 또한 상황극에 맞는 볼거리도 가득하다. |
캐릭터(연기) | ![]() |
상황극에 맞춰 연기해주는 성우들의 기본 기량이 상당한 편. |
첫인상(평가) | ![]() |
평균 이상의 재미를 보장하는 괴담 판타지 기담. |
![](https://blog.kakaocdn.net/dn/QqkhY/btsHtiLqfc9/kXk3uETm31WWLlps2d8kMk/img.jpg)
싸움독학 3
스토리(특징) | ![]() |
막막한 사회에서 살아남는다는 현대사회 우화극은 개뿔 이런건 싸움액션이 전부. |
작화(연출) | ![]() |
웹툰 특유의 그림체나 채색 재현에 신경쓴 결과 움직이는 웹툰이 되었을 뿐. |
캐릭터(연기) | ![]() |
밑바닥부터 성장하는 주연 타입은 의외로 호불호가 갈린다. |
첫인상(평가) | ![]() |
암만봐도 일본에서 통할법한 소재가 아닐텐데 굳이 현지화를? |
![](https://blog.kakaocdn.net/dn/blczRG/btsHsBETF4q/8uSsk8avc4T3n8Llrgkqa1/img.jpg)
유루캠△ 3기
스토리(특징) | ![]() |
힐링 일상물 자체가 롱런이 힘들지만 특유의 캠핑감성은 그대로. |
작화(연출) | ![]() |
인물작화도 달라졌고 동세도 절제되었지만 적당히 즐길만한 수준. |
캐릭터(연기) | ![]() |
소재를 꾸준히 발굴하는 가운데 주연들의 개인사도 좀 더 풀어줬으면. |
첫인상(평가) | ![]() |
다시는 석사박사들이 만든 소시지를 무시하지 마라. |
![](https://blog.kakaocdn.net/dn/oM4ES/btsHmBkYZbi/pFOTjkACg8qZI4h0BKkM0k/img.jpg)
아스트로 노트
스토리(특징) | ![]() |
결말로 승부를 본다고 하지만 적어도 요깃거리와 빌드업은 충실 |
작화(연출) | ![]() |
화사한 색감에 기본기 이상은 하는 준수한 작화 퀄리티 |
캐릭터(연기) | ![]() |
다양한 비밀을 품고 있는 주민들과 얽히고 섞이는 소동극을 살리는 세심한 연기지도 |
첫인상(평가) | ![]() |
타카마츠 신지의 메종일각 기반 루믹(Rumic) 유니버스? 4 |
![](https://blog.kakaocdn.net/dn/8QDvX/btsHsRmUHxy/MPPLeuQz0OD5I2E2EKqKU1/img.webp)
걸즈 밴드 크라이
스토리(특징) | ![]() |
투쟁 그 자체인 쿠마모토의 미친개의 ROCK직구 밴드결성기 |
작화(연출) | ![]() |
최근 풀 3D 인간 작화를 가장 잘 그리는 회사를 꼽는다면 단연 토에이 |
캐릭터(연기) | ![]() |
과격하게 부딫치는 인물간의 갈등과 화해가 이 작품의 최대 매력 |
첫인상(평가) | ![]() |
가가호호 평화로운 것만이 아닌 ROCK하게 부딫치고 상처를 남기는 것도 일상 |
![](https://blog.kakaocdn.net/dn/8YLSP/btsHu13dGyw/e3hRlune2YZUODE1EFrkt1/img.jpg)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스토리(특징) | ![]() |
못 만든 것 보다 용서받을 수 없는건 재미없는 것. |
작화(연출) | ![]() |
공허하게 울리는 피아노 OST 마냥 와닿지 못하는 연출. |
캐릭터(연기) | ![]() |
도대체 연기지도를 어떻게 했길래 나름 짬밥 찬 성우들의 대화 속도가 굼뜨냐. |
첫인상(평가) | ![]() |
'방과 후 클라이막스' 에피소드는 적당히 잘 만들었지만 그래도 마음에 안들어. |
![](https://blog.kakaocdn.net/dn/W4aXJ/btsHsPCPfh5/7xsE59cUKRCx49j7vrZDM1/img.jpg)
HIGHSPEED Étoile
스토리(특징) | ![]() |
고유설정도 카트게임에서 따왔을 뿐 인물들의 계기와 연결점이 빈약함. |
작화(연출) | ![]() |
레이싱 장르에 있어 중요한 속도감과 카메라 워크도 너무 빈약함. |
캐릭터(연기) | ![]() |
재밌는 레이서 캐릭터에는 그에 걸맞는 다양한 SF메카닉이 필요한데 그것마저 거른다고? |
첫인상(평가) | ![]() |
진지하게 히트할 생각이 있는지 실망스러운 수준의 고철덩어리. |
![](https://blog.kakaocdn.net/dn/r3cxe/btsHr2CWBH6/gdarKAcK0ocp0uNKqkbpUK/img.jpg)
괴수 8호
스토리(특징) | ![]() |
힘숨찐 어필하기엔 설정과 적대세력이 미지수인게 파워밸런스로 작용. |
작화(연출) | ![]() |
진지와 개그를 오고가는 무게감 조절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 |
캐릭터(연기) | ![]() |
기생수 원펀맨의 위기일발 전투원실격. |
첫인상(평가) | ![]() |
엄청 재밌거나 너무 못만든 것도 아닌 대충 먹을만한 국밥. |
![](https://blog.kakaocdn.net/dn/sE2BF/btsHsm80WvJ/KyycgQM9G5F4wDOUBBXp00/img.jpg)
더 페이블
스토리(특징) | ![]() |
평범하게 사는 것이야 말로 가장 어렵고 힘들지. |
작화(연출) | ![]() |
과격한 액션을 펼치는 무대가 주로 한밤이라지만 어두워서 잘 안보임. |
캐릭터(연기) | ![]() |
주인공인 페이블의 갭포인트 정도는 좀 더 요동치는 하트로 익살스럽게 표현해도 좋았을텐데. |
첫인상(평가) | ![]() |
특별하지 않지만 펑크 없는 안정적인 장기전에 특화된 야쿠자 시트콤. |
![](https://blog.kakaocdn.net/dn/HZj95/btsHuMLIuct/37yGaJOBSH6lU0WTlFWvv1/img.jpg)
밤의 해파리는 헤엄칠 수 없어
스토리(특징) | ![]() |
주연들의 목표가 SNS 유명 미디어 그룹으로 범위를 막연하게 잡으니 이야기에 몰입이 조금 힘듬. |
작화(연출) | ![]() |
기본기 있는 작화 퀄리티 아래 하이라이트 파트의 소품 사용에 집중하는 구조. |
캐릭터(연기) | ![]() |
그럼에도 주연들이 끌어안는 트라우마나 개인사같은 구심점이 본작의 버팀목이자 한계점. |
첫인상(평가) | ![]() |
최애의 아이 성공에 자극받았는지 오리지널 아이돌물에 의욕 불태우는 동화공방. |
![](https://blog.kakaocdn.net/dn/ciRNkk/btsHtS0zJjg/k50GD4YkV7phww4V4FnbP0/img.png)
전대대실격
스토리(특징) | ![]() |
망할 5등분 히어로 놈들의 블랙컴퍼니아 |
작화(연출) | ![]() |
KARAS, 타앤버를 맡은 사토 케이이치 감독 특유의 날카로운 구성과 묘사는 여전 |
캐릭터(연기) | ![]() |
속내를 알 수 없는 인간대실격자들의 약육강식 아마존 |
첫인상(평가) | ![]() |
![]() |
![](https://blog.kakaocdn.net/dn/bEF6dD/btsHt3NoEj5/nGLRMHysGhzAgRCzCIrviK/img.jpg)
귀멸의 칼날: 합동 강화 훈련 편
스토리(특징) | ![]() |
막연하게 수련만 하는 모습은 안보여줄테고 가령 썰풀이 같은걸로 액션씬 분량을 보강할 듯? |
작화(연출) | ![]() |
여전히 미려한 작화를 보여주지만 볼거리의 발굴이 중요 |
캐릭터(연기) | ![]() |
최종결전에 임하는 나머지 주들의 서사 깔아주기가 가장 필요한 시기 |
첫인상(평가) | ![]() |
현재 일본 국민만화의 노잼구간 최후능선을 돌파하라 |
![](https://blog.kakaocdn.net/dn/bYOSVs/btsHrWiveew/rZ8nildCDfklriSxxbozhK/img.jpg)
할아버지 할머니 회춘하다
스토리(특징) | ![]() |
세대차이라는 무거운 소재를 경쾌하게 풀어내는 전원일기 |
작화(연출) | ![]() |
평범한 수준이지만 분위기를 몰입하는 기본기는 있다 |
캐릭터(연기) | ![]() |
적어도 노부부 역을 맡은 성우들의 연기씬만 봐도 충분히 가치가 있음 5 |
첫인상(평가) | ![]() |
요즘 과일값보면 모든게 황금으로 보이더라 |
![](https://blog.kakaocdn.net/dn/xRguH/btsHttUpV6v/77Kaldb9Fzvhdt7RCcfVcK/img.jpg)
블루 아카이브 The Animation
스토리(특징) | ![]() |
A급 청춘 이야기를 C급 금융 드라마로 만들어버린 기적 |
작화(연출) | ![]() |
수준이 다른 OP&ED 퀄리티에 비해 본편은 기복이 심한 구성에 지리멸렬한 OST의 불협화음 |
캐릭터(연기) | ![]() |
센세! 학생들의 신용을 잃으면 끝이다! - P선생 |
첫인상(평가) | ![]() |
![]() |
대충 여기까지
시청 추천작으로 [종말트레인, 늑향 리메이크, 괴이소녀, 유루캠3, 걸밴크, 전대대실격, 귀멸의 칼날 4]정도 되겠네요
판매하는 상품의 제작을 총괄하는 감독의 중요성에 대해 물어본다면
납품하는 물품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재료의 관리, 포장과 배송까지 관리하는 중요한 직책입니다.
애니메이션 감독 또한 제한된 시간 안에 영상물을 제작관리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이번 분기에는 정말로 다양한 애니메이션들이 등장했던 만큼
원작과 오리지널 작품군에 대한 시청자들의 희비가 많이 엇갈렸습니다.
물론 위의 한 줄 평가에서 이야기를 했지만 감독 경력과 관련지어 다시 요약해 보았습니다.
이처럼 감독 특유의 개성이나 지향점이 작품에 강하게 남는 것도 노하우를 비롯한 사회경험의 영향력이 주된 이유로
특히 오리지널 작품의 총괄지휘를 맡는 감독이라면 그 압박감은 엄청날 겁니다.
사실 제가 애니메이션의 상태가 안 좋을 때 감독 탓을 함부로 하기 싫은 이유는
애니메이션 업계가 조별과제 수준의 힘든 스케줄과 품질 사이의 줄다리기라는
예리하게 날 선 업무환경인 만큼 서로 남탓하면 끊임없이 피곤해질 뿐입니다.
그럼에도 감독 탓이 매번 언급되고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는
하이라이트급 중요한 장면을 신입 애니메이터가 단독으로 그리겠다고 나서는 열정적인 제작 환경이 있는가 하면
당장에 주술회전 2기에 참여한 유명 웹애니메이터들도 MAPPA의 끔찍한 스케줄 관리에 학을 떼었다는 사례나
아무리 실력파 각본가라고 해도 감독(과 프로듀서)의 지시사항이 최우선인 만큼
시간엄수는 기본이요 설계된 의도와 어긋나는 시나리오를 작성했다간 해고당할 수 도 있습니다.
결국 납품기한에 맞춰 수많은 인력들의 업무와 스케쥴을 관리하는 감독직이란
이름 그대로 제작 현장의 지휘를 모두 떠맡는 '책임자'이기 때문입니다.
저도 미디어 관련 학과를 나왔다지만 업계에는 수박 겉핥기 수준도 안 되는 만큼 매번 언급을 조심(?)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감독의 역량뿐만이 아닌 제작회사 스태프의 시량이나 외부의 간섭 등 다양한 변수들이 업계에 도사리는 만큼
기대하던 작품이 안타까운 결과가 나올지언정 적어도 현장에서 고생하는 사람들을 심하게 비난하지 말아줬으면 합니다.
p.s
사실 마무리 썰을 쓸 때마다 매번 내용이 중복되지 않나 체크하고 있습니다.
티스토리에 터전을 잡은 이후로 아직까지 중복된 내용은 없습니다만
이전 이글루스 올린 신작애니평가는 엄연히 '신작'의 평가인 만큼 아직 보류상태입니다.
그래도 원하시는 분들이 있으시다면 문제 되는 몇몇 내용들을 수정하면서
아카이브로 형식으로 올려볼까 고려하고 있습니다.
p.s2
티스토리 유튜브 삽입기능이 요즘 정말 말썽이더군요
검색은 제대로 안되고 먹히더라도 범위가 없다시피 하니...
- 일본 문학가 미야자와 겐지의 원작 동화, 은하철도 999, 돌아가는 펭귄 드럼, 붕괴: 스타레일 등의 모티브 원작. [본문으로]
- 성우=배우로서의 캐릭터 꾸미기, 대인관계, 스캔들, 뒷담화 계정 등등. [본문으로]
- 일본 현지 방송 기준. [본문으로]
- 일본 만화가 타카하시 루미코의 작품 전반, 'Rumic'o의 Comics(만화). [본문으로]
- 男:미키 신이치로/女:노토 마미코. [본문으로]
- 대표작: 걸판 시리즈, 블러드-C TVA,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11~12기, 시로바코, 정글은 언제나 맑은 뒤 흐림 [본문으로]
- 대표작: 늑대화 향신료 구작 시리즈, 요스가노소라, 히나코 노트, 이수라. [본문으로]
- 대표작: 러브라이브 선샤인 시리즈 [본문으로]
- 대표작: 장갑기병 보톰즈, 사이보그 009외 대다수. [본문으로]
- 대표작: KARAS, 바하무트 애니 시리즈, 타이거 앤 버니 시즌1, 이누야시키. [본문으로]
- 대표작: 미기와 다리, 푸치마스!, 데레극장. [본문으로]
- 대표작: 유루유리 OVA, 쇼 바이 락 시즌 4. [본문으로]
'애니메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7월(3분기) 신작 애니 평가 (60) | 2024.08.09 |
---|---|
2023년 신작 애니메이션 총평 + Best Award (58) | 2024.08.08 |
2024년 1월(1분기) 신작 애니 평가 (53) | 2024.02.22 |
2023년 10월(4분기) 신작 애니 평가 (28) | 2023.11.20 |
2023년 7월(3분기) 신작 애니 평가 (0) | 2023.08.10 |